돈 버는 기술과 나누는 지혜...조선 부자들의 삶과 철학
돈 버는 기술과 나누는 지혜...조선 부자들의 삶과 철학
  • 이윤식
  • 승인 2021.12.01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민지 수탈과 한국 전쟁으로 얼룩진 역사에서 대한민국은 놀라운 속도로 성장했다. 이 고도성장에는 빈부 격차라는 그늘이 있다. 해가 갈수록 격차는 벌어지고 부의 쏠림 현상 역시 심각하다. 부는 공평하게 배분되지 않고 대물림된다. 불공정한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예전이 어땠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스타북스가 조선 부자들의 기발한 상술과 파란만장의 삶과 철학을 담은 도서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조선의 여러 부자를 소개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담아낸 우리나라 부자의 역사서라 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일대기를 통해 당시의 돈의 흐름은 물론 역사적 흐름까지 한데 모아 보여 준다.

땀 흘려 버는 돈의 가치와 시대의 보통 사람들 이야기가 있다. 우리에게 익히 이름을 알린 부자부터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은 부자들까지. 그들을 통해 돈의 가치와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당시 쓰던 구성진 말투를 살려 시대적 배경을 더욱 알기 쉽고 느끼기 쉽게 했다.

나눔과 실천의 가훈으로 300년을 경주 최 부잣집과 사농공상이란 계급의 굴레에 얽매여 조선의 사회 풍토 속에서 잡초처럼 자라난 임상옥을 비롯해 개항기를 거쳐 철도, 기선의 탄생과 함께 근대적 서양 물품의 물량 시대의 도래, 은행, 토지 측량, 산금 정책의 여파로 등장한 노다지 광산 거부 시대까지 숨 쉴 틈 없이 몰아치는 ‘돈’의 이야기들은 과연 어느 정도로 재미있을까, 돈의 행방을 추적하면서 장쾌하게 전개된 조선의 부자들의 드라마는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가, 이 책에 기술한 단순한 거부의 평전에 그친 것이 아니라, 한 시대의 경제사이며 문화역사이다.

대물림받은 부로 승리자가 된 자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평범한 이들이 부자가 된 이야기와 그 시대를 봐야 한다. 물론 시대는 바뀌었고 가치관도 달라져서 자수성가한 그들의 이야기는 구태의연한 성공담으로 탈바꿈될 수 있다.

평범한 사람들은 돈을 쫓지만, 부자들은 시대의 흐름을 쫓는다. 어느 시대에나 통용되지만, 구한 말의 조선처럼 열강들의 바람이 잦았던 시대에는 그 흐름이 중요했다. 장안의 거상으로 이름을 날린 최남은 장사에 성공하는 비결 가운데 하나로 ‘시대를 생각하라’고 말한다.

무역으로 돈을 크게 번 이승훈은 청일·러일 전쟁으로 뼈아픈 실패를 맛보아야 했다. 청일 전쟁 당시 패배한 청나라 군사들은 달아나면서 값이 될 만한 물건들을 모두 가져갔고 이승훈은 모든 것을 잃었다. 돈을 빌려 장사했던 이들은 물건이 도둑맞고 부서져 빚을 갚기가 막막해진다.

이승훈도 형편은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도망친 대다수 이와 달리 이승훈은 돈을 빌려준 사람을 찾아가 상황을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그는 신뢰를 얻었고 위기를 극복했다. 이런 부자들은 시대의 흐름을 읽고 돈을 벌어들이기도 하지만 그 흐름에 따라 돈을 잃기도 한다. 그러나 잃었을 때 최소한의 도리를 지키는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다시 돈을 모은다. 그들이 쫓는 가치는 돈이라는 물질이 아닌 신뢰라는 정신이었다. 위기의 상황에서 신뢰라는 카드로 판을 뒤집었던 조선의 부자들의 이야기가 여기에 있다.

12대에 거처 300년을 이어온 최 부잣집에는 나눔과 실천 그 자체라고 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집안을 다스리는 육훈과 자신을 지키는 육연이라고 하는 가훈이 있다. 그들은 이 가훈을 지키며 12대에 거처 300년 동안이나 이어왔다. 초기 로마 시대 왕과 귀족들이 보여 준 투철한 도덕의식과 공공 정신을 일컫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개념을 그대로 실천한 것이다.

조선 시대 부자들에게 나눔은 의무가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이 받은 것이 사회의 덕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았고 베풀 줄 알았다.

1900년도 초의 사회 사업가였던 백선행 씨는 근검절약해 돈을 모았고 성공을 한 뒤는 평양 갑부가 됐다. 공익 사업과 문화 시설 건설에 힘을 썼고 학교를 설립했다.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사회장이 치러질 만큼 영향력이 있었다.

다른 조선 부자들도 나눔을 실천했다. 그들은 힘없는 나라가 다른 나라에 수탈당하는 원인을 교육의 부재라고 생각했고 학교를 세우는 데 여념이 없었다. 그들 중 친일파도 있었고 옳지 못한 일을 한 부자도 있었다. 하지만 적어도 자본주의의 폐해와 그 독이 한껏 오른 현대보다 나눌 줄 알고 사람을 생각할 줄 알았다. 조선의 부자들이 정신과 나눔을 생각하는 태도는 우리가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표지 ⓒ도농라이프타임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