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이미 문화선진국...막연한 미래보다 현재의 행복이 중요”
“대한민국은 이미 문화선진국...막연한 미래보다 현재의 행복이 중요”
  • 박영선
  • 승인 2022.12.19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G7) 대비 우리나라 분야별 수준(제공:문체부)

우리 국민의 약 66%는 한국 문화는 이미 선진국 수준이고, 10명 중 4명은 미래보다 현재의 행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진행한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우수하다고 답한 비율은 96.6%로 2008년에 비해 43%포인트 상승했다. 또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 우수하다 95.1%,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 89.8%, 우리나라는 살기 좋은 곳이다 90.4%, 우리나라 역사가 자랑스럽다 85%로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선진국(G7) 대비 우리나라 분야별 수준에 대해 문화 분야는 이미 선진국 수준이다 65.9%, 경제 분야는 선진국 수준에 다소 미흡하다 61.1%, 정치 분야는 선진국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56.4%가 가장 많았다. 10년 전보다 이미 선진국 수준이다라는 응답 비율은 모든 분야에서 상승했다.

삶의 방식에 대해, 우리 국민의 27%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지만, 43.4%는 막연한 미래보다 현재 행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른바 현재 행복에 충실하자는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현상이 청년(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뿐만 아니라 전 세대에 걸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65%가 행복하다고 답해 우리 국민의 행복감은 2008년 이후로 지난 14년간 ‘중상’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63.1%가 요즘 삶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세부 항목에 있어서는 ‘가족’에 대한 만족도(82.3%)가 가장 높은 반면, ‘소득-재산’에 대해서는 38.9%만 만족한다고 답했다.

결혼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에 대해서는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17.6%로 1996년(36.7%)부터 지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요소로는 처음 조사가 시작된 1996년 이래 올해까지 계속해서 ‘성격’이 1위로 조사됐다.

결혼 관련 인식에 대해서는 '혼전순결 지켜야 하는지'와 '이혼은 해서는 안 되는지'에 대해 그렇지 않다가 각각 57.6%, 56.3%, 동거(사실혼)도 결혼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그렇다가 67.3%로 개인의 자유나 권리를 중시하는 모습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올해 처음 질문한 성인이 된 자녀는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한다에는 80.9%가 '그렇다'라고 답했고, ‘부모 부양 의무’에 대한 긍정 응답은 51.2%로 두 질문 모두 고연령일수록 긍정 응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만 ‘부모 부양 의무’에 대한 긍정 응답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일(학업)과 여가생활의 균형에 대해서는 보통 36.9%, 여가에 비중을 둔다 32.2%, 일에 비중을 둔다 30.9% 순으로 나타나, 일과 여가를 조화롭게 병행하는 삶에 대한 자기 결정성이 높아지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3년 전에는 여가보다는 일에 집중한다 48.4%, 일보다 여가를 즐긴다 17.1%로 일에 더욱 집중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가정경제 수준에 대해 '중산층보다 낮다'라는 응답은 지난 2019년 조사 결과에 비해 2.2% 소폭 감소했다. '중산층보다 낮다' 57.6%, '중산층이다' 36.1%, '중산층보다 높다' 6.3% 순으로 응답했으며, 주변과의 생활 수준 차이에 대해서는 68.1%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우리 사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일자리 29%, 빈부격차 20%, 부동산·주택 18.8%, 저출산·고령화 17.4%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양극화’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10명 중 8명(88.6%)이 '심각하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 사회의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을 10점 척도로 살펴본 결과 ‘소득분배’에 대한 인식은 노력에 따른 소득격차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소 우세해 평균 6.6점으로 나타났으며, ‘생계-복지 책임 주체’로는 ‘당사자 책임‘이, ‘경쟁’에 대해서는 사회를 발전시킨다가 각각 반대 의견보다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유와 질서’ 인식은 평균 5.5점으로 ‘사회적 질서 우선이 30.9%, ‘개인의 자유 우선이 33%로 나타났다. 평균 5.3점인 환경보호 인식은 ‘환경보호 우선 31.9%와 ‘경제성장 우선’ 29%로 의견이 서로 팽팽하게 맞섰다.

‘가진 것들에 대해 한국 사회로부터 받는 대우가 공정하다고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두뇌(능력)’, ‘일과 관련된 기술’, ‘노력’, ‘경력’의 4개 항목에서 각 50%, 49.1%, 35.8%, 34.6%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갈등이 심한 집단으로는 ‘진보와 보수’가 89.5%,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78.8%, ‘부유층과 서민층’이 76.6%순으로 이어졌으며,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를 물은 결과 신뢰할 수 있다가 39.8%, 신뢰할 수 없다 19.9%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이 희망하는 미래 한국은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가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는지에 대해 80.5%, 난민을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44.1%가 '그렇다'고 답해 우리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 대해서는 협력 대상 34.1%, 적대적 대상 26.5%, 경계 대상 17.9%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비우호적 응답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시기에 대해서도 통일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가 53.3%로 가장 높았으며,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 36.6%,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 10.1%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 조사는 지난 1996년을 시작으로 2013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 조사는 8번째 조사이다.

                                                             (제공:문체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